JWT 란?
JWT 란? JWT(JSON Web Token)는 웹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인가)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증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JSON 기반의 토큰이다. 보통 인증이 필요한 웹 서비스에서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며, 토큰 자체에 서명(signature)을 포함해 위변조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
JWT 란? JWT(JSON Web Token)는 웹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인가)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증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JSON 기반의 토큰이다. 보통 인증이 필요한 웹 서비스에서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며, 토큰 자체에 서명(signature)을 포함해 위변조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
인턴 과제를 위해 Vite 로 프로젝트 셋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Vite 로는 몇 번 해본 적이 없어,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자. Vite 로 프로젝트 생성하기 아래는 JavaScript 기반 React 프로젝트 셋업 방법이다. $ npm create vite@latest my-vue-app -- --template react 이외에도 다른 ...
WSL 을 사용하려는 이유 개발을 처음 접하게 됐을 때 사용했던 기기가 mac 이었다. 개인용 맥북도 있었고, 윈도우 데스크탑도 가지고 있었기에 문제가 없었다. 다만 지금은 윈도우 데스크탑이 없기 때문에 윈도우 노트북을 소지하고 있는데, git bash 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이전에 WSL 을 썼다가, git bash 로 이전하고 결국엔...
목적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던 블로그는 사실 아무도 볼 수 없다고 봐야한다. Github 에 들어가서 찾아보거나, 내가 주소를 전달해주지 않으면 검색을 해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진작에 했다면 좋았겠지만, 그 때는 막연하게 어렵다고만 생각을 하고 있었다. 사실 귀찮음이 아닐까.. 아무튼! 페이지를 직접 검색 엔진에 등록하기 위해 준비하는 이 과...
해시 테이블이란? 배열의 색인(index)를 지정할 때 해시 값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 해시 함수를 사용해, 값에 대한 고유 색인을 생성함. 이후 값을 저장하는 공간인 버킷에서 색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함. 해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시간 복잡도는 O(1) 이며, 충돌이 발생하면 최대 O(N). 동작 ...
목적 저번 포스팅에서, RSC 를 다루기 이전 CSR -> SSR 을 혼합하게되는 배경을 간단히 다루어보았다. 이 내용을 이해해야, 왜 RSC 가 등장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SC 를 통해 CSR + SSR 을 결합하면서 얻는 장점을 살펴보자. FCP, TTI, LCP RSC 를 이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목적 @gather_here 의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새로 구축하면서, 서버 사이드 컴포넌트를 적용해보려고 시도 중이다. 최소한 상황에 따라 더 유리한 선택지가 있을 텐데, 무분별하게 "use client"를 도배하는 행동은 그만해야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 vs 클라이언트를 선택할 나만의 기준 정도는 세워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도전하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