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개발 일지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 셋업(WSL)

WSL 을 사용하려는 이유 개발을 처음 접하게 됐을 때 사용했던 기기가 mac 이었다. 개인용 맥북도 있었고, 윈도우 데스크탑도 가지고 있었기에 문제가 없었다. 다만 지금은 윈도우 데스크탑이 없기 때문에 윈도우 노트북을 소지하고 있는데, git bash 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이전에 WSL 을 썼다가, git bash 로 이전하고 결국엔...

블로그를 검색 엔진에 등록하기

목적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던 블로그는 사실 아무도 볼 수 없다고 봐야한다. Github 에 들어가서 찾아보거나, 내가 주소를 전달해주지 않으면 검색을 해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진작에 했다면 좋았겠지만, 그 때는 막연하게 어렵다고만 생각을 하고 있었다. 사실 귀찮음이 아닐까.. 아무튼! 페이지를 직접 검색 엔진에 등록하기 위해 준비하는 이 과...

25/01/07 해시 테이블(Hash Table) / 해시 맵(Hash Map)이란?

해시 테이블이란? 배열의 색인(index)를 지정할 때 해시 값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 해시 함수를 사용해, 값에 대한 고유 색인을 생성함. 이후 값을 저장하는 공간인 버킷에서 색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함. 해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시간 복잡도는 O(1) 이며, 충돌이 발생하면 최대 O(N). 동작 ...

React Server Component 에 대한 이해 - 1

목적 @gather_here 의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새로 구축하면서, 서버 사이드 컴포넌트를 적용해보려고 시도 중이다. 최소한 상황에 따라 더 유리한 선택지가 있을 텐데, 무분별하게 "use client"를 도배하는 행동은 그만해야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 vs 클라이언트를 선택할 나만의 기준 정도는 세워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도전하기로 ...

현재 gather_here 의 검색 기능이 가진 문제

문제 상황 오류 현상을 정리한 JIRA 이슈 지금 현재 구현되어있는 검색 기능은 직관적이지 않다. 헤더에 존재해서 어디에든 검색이 가능하지만, 정작 메인페이지를 제외하고는 검색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것이다. 실제 검색 창에서 검색을 해보자. 검색어가 없을 때는 url 에 변화가 없다. 검색어가 있는 경우에는 url 에 query str...